총선을 70여 일 앞두고 예비후보들이 뛰고 있고 각 당은 공천 작업이 한창입니다만 경기 규칙이라고 할 선거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의 병립형으로 회귀할지 아니면 지난 총선에 새로 도입한 준연동형을 유지할 건지 여야가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이 와중에 민주당 임혁백 공천관리위원장이 '소수정당 배분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'를 제안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명칭이 참 긴데요. <br /> <br />핵심은 3% 이상 득표율을 얻은 정당에 대해 비례 의석 47석 가운데 30%에 해당하는 15석가량을 보장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'소수정당 배분'이라 표현하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과거 병립형은 소수정당에 대한 배려 없이 <br /> <br />비례 의석 47석만을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일괄 할당했고, <br /> <br />준연동형은 비례 의석 가운데 30석에 대해서만 적용했던 것과 달리 <br /> <br />임혁백 위원장의 제안은 15석 정도는 소수정당에 대해 우선 배분하는 방안이라 차이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여야 모두 병립형과 준연동형 사이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던 상황이었는데 <br /> <br />임 위원장의 이 같은 제안에 국민의힘도 대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<br /> <br />장기 교착 국면인 선거제 논의에 물꼬를 틀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.... <br /> <br />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얼핏 보면 소수정당에 유리한 것으로 보이는 임 위원장의 제안이 외려 소수정당의 반대를 맞닥뜨릴 수 있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현재 이준석 개혁신당, 이낙연 새로운미래 등 유력 소수정당들이 여럿 등장한 상황이다 보니, <br /> <br />불과 15석을 놓고 파이 경쟁을 벌어야 하는 게 성에 차지 않을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준연동형 제도를 유지한다면 <br /> <br />이른바 '텐트'를 키워가는 이준석, 이낙연 신당에 자칫 더 많은 의석을 내어주게 되는 것 아닌지 국민의힘과 민주당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총선일은 다가오는 가운데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셈법 앞에서 여야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희재 (parkhj022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2513003403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